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례상 제사상 제사음식 놓는 방법]
제기와 제수를 격식에 맞게 배열하는 것을 제수 진설법이라 한다. 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풍이 약간씩 달라서 가가례라고 하며 남의 제사를 감놓아라 밤놓아라 참견말라는 풍자적인 말도 나오게 되었는데 그 원인은 각종예서에 기록된 진설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제사에서는 신위가 놓인 곳, 즉 병풍이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본다.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한다.
- 조율시이라 해서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조율사이의 순서로 하기도 한다.
다른 과일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유과를 놓는다.
2. 둘째줄에는 포와 나물을 놓는다.
- 좌포우해라 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놓으며 생채 다음 우측 끝에는 식혜를 쓰기도 한다. 나물은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며 고사리, 도라지 나물을 쓰기도 한다. 청장(간장)과 침체(겨울에 동치미)는 그 다음에 올린다.
3. 셋째줄에는 탕을 올린다.
- 삼탕을 올릴 때는 육탕,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의 순으로 올린다. 오탕을 올릴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을 더 올리며 요즘에는 한 가지 탕을 쓰는 가정이 늘고 있다.
- 삼탕이란 소고기탕, 생선탕, 닭고기 탕을 말한다.
- 오탕이란 삼탕에 돼지고기탕과 소탕을 합한 것을 말한다. 이 때 소탕은 육류나 어류를 넣지 않는다.
- 칠탕이란 오탕에 두부탕과 다른 생선을 더한 것이다.
4. 넷째줄에는 적과 전을 올린다.
- 삼적으로 육전, 어적(어패류적), 소적(두부채소류)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고기나 생선을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해서 구운 음식
- 전 : 명태전, 육완전, 표고버섯전, 새송이전, 삼색전, 오색전, 부침개 등 재료에 계란을 풀어 모양을 내어 지진 음식
5. 다섯째줄에는 메(밥)와 갱(국)을 올린다.
- 앞에서 보아 메(밥)는 좌측, 갱(국)은 우측에 차린다. 즉 밥과 국의 위치가 산사람과는 반대로 된다.
6. 시접을 올린다.
- 지방이란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 사용했다.(신주 : 대게 밤나무로 만든 위패)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이다.
-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 버린다. 왼쪽은 할아버지 한 위, 오른쪽은 할아버지와 할머니 양위의 지방이다.
- 남자 고인의 경우, 벼슬이 있으면 학생 대신에 벼슬의 관직을 쓰고 그 구인은 유인 대신에 정경부인을 쓴다.
- 여자의 지강 유방 다음세는 본관성씨를 쓴다.
- 고는 사후의 부(아버지)를 뜻하며 비는 사후의 모(어머니)를 뜻한다.
-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어야 한다.
-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 한 할아버지에 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제기와 제수를 격식에 맞게 배열하는 것을 제수 진설법이라 한다. 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풍이 약간씩 달라서 가가례라고 하며 남의 제사를 감놓아라 밤놓아라 참견말라는 풍자적인 말도 나오게 되었는데 그 원인은 각종예서에 기록된 진설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제사에서는 신위가 놓인 곳, 즉 병풍이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본다.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한다.
1. 맨 앞줄에 과일을 놓는다.
- 조율시이라 해서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조율사이의 순서로 하기도 한다.
다른 과일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유과를 놓는다.
2. 둘째줄에는 포와 나물을 놓는다.
- 좌포우해라 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놓으며 생채 다음 우측 끝에는 식혜를 쓰기도 한다. 나물은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며 고사리, 도라지 나물을 쓰기도 한다. 청장(간장)과 침체(겨울에 동치미)는 그 다음에 올린다.
3. 셋째줄에는 탕을 올린다.
- 삼탕을 올릴 때는 육탕,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의 순으로 올린다. 오탕을 올릴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을 더 올리며 요즘에는 한 가지 탕을 쓰는 가정이 늘고 있다.
- 삼탕이란 소고기탕, 생선탕, 닭고기 탕을 말한다.
- 오탕이란 삼탕에 돼지고기탕과 소탕을 합한 것을 말한다. 이 때 소탕은 육류나 어류를 넣지 않는다.
- 칠탕이란 오탕에 두부탕과 다른 생선을 더한 것이다.
4. 넷째줄에는 적과 전을 올린다.
- 삼적으로 육전, 어적(어패류적), 소적(두부채소류)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고기나 생선을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해서 구운 음식
- 전 : 명태전, 육완전, 표고버섯전, 새송이전, 삼색전, 오색전, 부침개 등 재료에 계란을 풀어 모양을 내어 지진 음식
5. 다섯째줄에는 메(밥)와 갱(국)을 올린다.
- 앞에서 보아 메(밥)는 좌측, 갱(국)은 우측에 차린다. 즉 밥과 국의 위치가 산사람과는 반대로 된다.
6. 시접을 올린다.
[지방 쓰는 법]
- 지방이란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 사용했다.(신주 : 대게 밤나무로 만든 위패)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이다.
-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 버린다. 왼쪽은 할아버지 한 위, 오른쪽은 할아버지와 할머니 양위의 지방이다.
- 남자 고인의 경우, 벼슬이 있으면 학생 대신에 벼슬의 관직을 쓰고 그 구인은 유인 대신에 정경부인을 쓴다.
- 여자의 지강 유방 다음세는 본관성씨를 쓴다.
- 고는 사후의 부(아버지)를 뜻하며 비는 사후의 모(어머니)를 뜻한다.
-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어야 한다.
-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 한 할아버지에 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반응형
'평강줌마 상식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검진 정상B, 이상지질혈증, HDL콜레스테롤 높이기 (7) | 2017.01.14 |
---|---|
적십자회비 의무는 아니지만 작은 기부 (15) | 2017.01.01 |
영남잔치상 제사음식대행 차례상 신청기 -1편 (19) | 2016.02.06 |
2016년 2월 이마트 휴무일 및 이마트 설날 영업시간 (7) | 2016.02.01 |
연말정산 카드소득공제율 계산으로 카드공제 UP (11)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