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직장인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기록입니다. 재미로 봐주세요. 남편도 저도 최고 연봉을 찍었어요. - 직장인 남편 2021년 1년 소득: 68,249,130원 - 직장인 아내 2021년 1년 소득: 76,301,250원 2021년이 가장 소득이 많이 나온 해가 아닐까 싶네요. 특히 저의 경우 월급 말고 수당이 많았어요. 수당을 받을 일이 많았어요. 그래서 소득이 엄청나게 많이 나왔어요. 아마 앞으로 5년에도 이런 소득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 봐요. 남편도 저도 열심히 다닌 것을 칭찬해요. - 남편결정세액: 4,224,929원 - 남편기납부세액: 4,578,300원 - 남편 환급금액: 353,360원 - 아내결정세액: 5,629,269원 - 아내기납부세액: 5,052,020원 - 아내 토해낼 금액: ..
어김없이 돌아온 연말정산. 올해 연말정산에서는 얼마나 내어야 할까? 유리지갑은 세금폭탄을 맞지 않을까 걱정이 되네요.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으로 저희 부부의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를 정리해서 기록해두려고 해요. 이렇게 한 연말정산 기록들이 1년 월급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봐요. [온달아찌's 연말정산] - 남편의 총급여 48,051,570원 - 남편의 결정세액: 1,273,245원 - 남편의 기납부세액: 2,558,320원 - 남편의 인적공제: 본인, 초등 자녀 1명, 6세 이하의 자녀 1명 - 남편의 체크카드 사용액: 6,525,470원 - 의료비: 396,830원 - 남편의 자녀교육비: 24,850원 - 남편의 연금저축 공제: 300만원 연금저축 저금 -남편의 기부금: 4만원 - 남편의 연말정..
2016년 맞벌이 부부인 저희 부부의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를 정리해서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정리를 합니다. 매년 이렇게 기록한 포스팅을 보면서 1년을 반성하고 비교해보는 하나의 자료가 될 것이라 봅니다.(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온달아찌's 연말정산 - 남편의 총급여 : 52,110,900원 - 남편의 결정세액 : 1,969,485원 - 남편의 기납부세액 : 2,444,140원 - 남편의 인적공제 : 본인, 6세 이하의 자녀 2명 - 남편의 체크카드 사용액 : 6,989,770원 - 의료비 : 1,086,1122원 - 남편의 자녀교육비 : 300,000원 - 남편의 연금저축 공제 : 300만원 연금저축 저금 - 남편의 기부금 : 6만원 - 남편의 연말정산 결과 : -474,640원 ..
2015년 맞벌이 부부인 저희 부부의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를 정리해서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내년에 이 포스팅을 보면서 비교를 할 수 있는 하나의 자료가 될 것이라 봅니다. 온달아찌's 연말정산 - 남편의 총급여 : 50,607,100원 - 남편의 결정세액 : 1,620,890원 - 남편의 기납부세액 : 2,279,360원 - 남편의 인적공제 : 본인, 6세 이하의 자녀 2명 - 남편의 체크카드 사용액 : 6,638,570원 - 남편의 자녀교육비 : 350,000원 - 남편의 연금저축 공제 : 300만원 연금저축 저금 - 남편의 기부금 : 19만원 - 남편의 연말정산 결과 : -664,070원 - 남편의 총급여가 2015년 5천만 원이 넘었습니다. 너무 축하할 일입니다. 오늘도 건강하게 열심히 일해준 남..
13월의 보너스인 연말정산. 그런 연말정산이 하기 시작했어요. '그냥 뭐 귀찮은데 세금 내면 되지.'라고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 재작년에 저도 그랬답니다. 그러다 오 만원 때문에 연말정산에서 카드공제를 하나도 받지 못했어요. 제가 급여의 25%를 사용하지 못했어요. 단 오만원 부족으로. 사실 15일 동안 딸아이가 카드를 놓아두었는데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 남편카드를 사용했답니다. 그래서 세금을 이십만원이나 더 내어야 했답니다. 5만원만 더 결재했다면 카드공제를 받을 수 있었는데. 너무 아쉽게 카드 부분에서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었답니다. 사용하지도 못한 돈을 세금으로 내어야 했네요. 내 금쪽 같은 월급이 세금으로... 세테크! 알아야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재작년부터 꼭 연말정산에서 카드소득공제를 받자며..
매번 연말정산에서 참 잘했구나라는 생각은 많이 들지 않습니다. 저는 맞벌이이고 부양가족도 없다보니 돌려받기는 커녕 더 내고 있답니다. 작년에는 20만원을 내었다가 다시 10만원을 돌려받아서 10만원은 낸 셈입니다. 2014년까지 연말정산은 소득공제였으나 2015년 세법이 개정되면서 세액공제로 바뀌거 되었습니다. 맞벌이부부의 경우 잘 챙겨보아야 한답니다. 2014년까지 소득공제였을 때는 총 급여가 높은 쪽에 공제를 몰아주는 것면 과세표준이 낮아지기에 유리했습니다. 하지만 2015년부터 세액공제 중심이기에 결정세액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양가족, 의료비, 교육비 등 공제항목을 부부의 결정세액이 동일하도록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절하게 배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더 많은 금액을..
아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는 연말정산! 연말정산의 경우 내년 1월이나 2월에 준비를 하면 늦답니다. 연말정산은 미리미리 준비를 해야 한답니다. 저는 연말정산으로 두 번째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에 관한 첫 포스팅은 연말정산 인적공제인 기본공제와 추가공제 부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그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기본공제, 추가공제, 특별소득공제 연말정산에서 제가 가장 신경을 써는 것이 신용카드 부분입니다. 신용카드는 사용액을 조금 다 채우지 못하고 아깝게 하나도 공제가 못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에게 총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을 공제를 받는다고 하는데 2014년 연말정산에서 조금의 차이로 카드를 총급여의 25%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올해도 ..
열세 번째 월급인 연말정산이 곧 다가옵니다. 작년 연말정산 대란(저의 경우 10만원 추가로 내었습니다.)으로 올해는 더 많이 알아서 연말 정산을 조금이나마 더 잘하려고 합니다. 연말정산은 아는 만큼, 준비한 만큼 돌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늘 한 번 연말정산 포스팅 겸 연말정산에 대해서 공부를 해 보려고 합니다. 연말정산 월급쟁이들은 '월급'이라는 근로소득을 받습니다. 어떤 형태로든 소득이 발생하면 반드시 세금을 내야 합니다. 따라서 월급에서 소득세를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의해 원청징수 즉 세금을 미리 떼어냅니다. 이렇게 원천징수된 세금은 다음해 2월 다시 정산을 하게 됩니다. 개인별로 각종 특별공제 항목을 적용해서 정확한 세금부과를 위해서 다시 한 번 정산을 하는데, 이 과정을 연말정산이라고 합니다...
1. 홈텍스 재정산 대상 소득자 명단 확인 방법 가. 국세청 홈텍스 접촉(공인인증서 또는 ID) - 신청/제출 - (근로, 퇴직 등) 지급명세서 - 연말정산 재정산 안내(팝업창) 나. 재정산 대상 소득자 명단 및 신용카드 수정대상자 명단 조회 및 내려받기 가능 2. 연말정산 소득세법 개정법률 내용 가. (확대) 자녀 세액공제 - 2명까지 15만원씩 세액공제 - 3자녀부터 1명당 30만원(종전 20만원) 세액공제 나. (신설) 6세 이하 자녀세액공제 - 6세 이하 자녀 2명 이상시 둘째부터 1명당 15만원 세액공제 다. (신설) 출생, 입양 세액공제 : 1명당 30만원 세액공제 라. (확대) 연금계좌 세액 공제 - 총급여 5,500만원(종합소득 4,000만원) 이하 15%(종전 12%) - 장애인전용 보장..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저 나름대로 작년에 비해 올해는 열심히 잘 준비를 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소득공제 장기펀드도 가입을 했고, 카드도 체크카드를 사용했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작게나마 적십자에 기부도 했습니다. 그렇게 2014년 연말정산에 대해 준비를 했습니다. 2014년 연말정산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세액공제로 되었지만 5500만원 이하의 소득자는 오히려 세금이 줄 것이라 했습니다. 저는 5500만원 미만의 소득자이니 세금이 많이 늘 것이라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주 연말정산을 하며 너무 놀랐습니다. 작년과 달리 6세 미만의 자녀공제도 부녀자 공제 혜택을 받을 수가 없었습니다. 6세 미만의 자녀공제는 폐지가 되었고, 부녀자 공제 혜택..